○ “바다 위 LNG 공장”이라고 불리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FLNG)는 LNG와 관련된 전반적인 활동을 바다 위에서 이동하면서 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
*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 해저 천연가스 채굴, 정제, 액화, LNG 저장, 하역까지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종합 해양 플랜트인 FLNG는 유연한 LNG 사업 운영이 가능하며 별도 인프라 구축이 필요 없다는 것이 강점
• 해저 가스전 위치에 따라 이동하면서 천연가스를 채굴할 수 있음. 따라서 매장량이 비교적 적은 가스전에서도 추가 비용 없이 채굴을 진행할 수 있음
• 해저 파이프라인 등 인프라 건설이 필요 없어 관련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음
- 이러한 장점들이 주목받아, ’ 16~’ 17년 최초의 FLNG 선박들이 건조되어 영국 Shell과 말레이시아 Petronas에 인도된 바 있음
• 이때 프랑스 Technip과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Shell의 Prelude FLNG는 지금까지도 세계에서 가장 큰 FLNG 선박·시설로 남아 있음
- 다만, 당시 실제 운영 과정에서 장점보다 단점이 더 부각되며, FLNG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오래 지속되지 못했음
• 특히, LNG 생산 인프라를 FLNG 선박의 제한된 공간에 전부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 높은 비용 대비 낮은 생산성, 운영상 안전 문제 등이 단점으로 거론됨
○ 우드맥킨지는 최근 천연가스·LNG 시장의 높은 변동성 때문에 유연한 사업 운영 방식이 선호되면서 FLNG 시설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고 분석
- 우선 기술 발전 덕분에 FLNG 시설의 단점이었던 생산성과 안정성이 개선됐고 비용 절감 효과가 커졌음
• 삼성중공업 등 엔지니어링 업체들이 표준 FLNG 모듈과 맞춤 FLNG 설계 기술을 개발하면서 비용 부담이 적은 소형 FLNG 시설의 건조도 가능해졌음
• 미국 걸프만 LNG 터미널의 프로젝트 비용은 톤당 U$900 수준인데, 현재 건조 중인 FLNG 시설의 프로젝트 비용은 톤당 U$550~U$750
- 게다가 최근 천연가스·LNG 시장의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업체들이 다수 공급처를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이에, 장거리 운송이 가능해 공급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LNG 중심 트레이딩이 거래 트렌드로 선호됨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공급망 안정성을 확립하는 측면에서, 구매 업체들은 소수 공급보다는 여러 공급자에게서 천연가스를 공급받는 것을 선호하게 됨
• 이러한 추세는 유럽 국가들이 러시아산 파이프라인 천연가스 의존도를 줄이려고 글로벌 LNG 수입 시장에 본격 진입하면서 가속됨
- 완공에 4년 이상이 걸릴 수 있는 육상 LNG 터미널과는 달리, FLNG는 생산량이 적은 대신 비교적 짧은 기간 내 건조·가동할 수 있고 비용 리스크도 낮음. 즉, 더 즉각적으로 LNG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최근 관심을 받고 있음
- 여기에, 바다 위 운영 덕분에 내전 등 육지에서의 물리적 충돌·사고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는 것도 강점임. 따라서 해저 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한 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다수 FLNG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음
* 그림. 전 세계 FLNG 시설 및 프로젝트 현황과 프로젝트 단계별 규모(mmtpa)
* 자료. Wood Mackenzie
○ FLNG 시설의 리스크도 분명 존재하지만, 우드맥킨지는 최근 시장과 산업 추세상 단점보다는 장점이 부각될 여지가 더 높다고 주장함
- 육상 LNG 터미널에 비해 설비 비용이 저렴한 편이지만, FLNG 선박·시설의 건조에는 여전히 많은 투자 자금이 필요함. 또한, 개선되긴 했지만, 화학 공정 관련 설비들이 좁은 공간에 밀집돼 있어, 안전 관리 측면에서 시설 운영 리스크도 무시하기 어려움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드맥킨지는 최근 LNG 시장 트렌드와 더불어, 대형 에너지·엔지니어링 업체들이 FLNG에 크게 주목하고 있다고 강조함. 동사는 이들의 투자와 기술 발전에 대한 관심이 리스크들을 빠르게 상쇄해 나가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분석
• ’ 22년에 건조가 승인된 FLNG 프로젝트 규모는 8.5 mmtpa에 달하며, 현재 건조 중인 FLNG 프로젝트 규모도 12.5 mmtpa에 달함
• ’ 26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상업 운영 중인 FLNG 시설들의 규모가 25 mmtpa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million metric tonnes per annum; 1 mmtpa = 연간 1백만 톤
'경영.경제.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텔란티스, 내연기관 24종 대상 이퓨얼(e-fuel) 실증 시험 성공 (12) | 2023.09.18 |
---|---|
기후변화 적응과 작업자 안전 위한 쿨링 솔루션 사례 (10) | 2023.09.17 |
2023 청두 모터쇼에서 확인된 중국 자동차 업계 트렌드 (14) | 2023.09.15 |
MIT, AI 구매협상 자동화가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가? (12) | 2023.09.14 |
주 4일 근무제의 국내외 트렌드 및 운영 방향 (17) | 2023.09.13 |